반응형

EC2 7

EC2 Streamlit 대시보드 Web 화면 차트에 한글 출력하기

# Matplotlib 차트에 한글이 깨지던것과 동일하게, 리눅스 서버 Web 화면에 streamlit 차트를 출력시키는 경우에도 한글이 깨지는걸 볼수 있다. # 이런 경우 리눅스 서버에 직접 한글 폰트를 설치하여 압축 해제후 적용시켜줘야 한글이 깨지지 않고 출력된다.# AWS의 EC2 서버를 사용한다는 가정하에 폰트 설치부터 적용까지 진행 # 우선 Putty로 한글을 출력시킬 리눅스 서버 진입 (터미널) # 폰트 관리 유틸리티 설치sudo yum install fontconfig  # 네이버 나눔 폰트 다운로드 (명령어로 링크까지다 복사해서 붙여넣고 실행해야함)curl -o nanumfont.zip http://cdn.naver.com/naver/NanumFont/fontfiles/NanumFont_T..

EC2 자동 배포 : DevOps를 위한 CI/CD (1) Git hub actions 설정

# DevOps는 소프트웨어 개발과 정보기술 운영을 결합하는 문화, 철학, 방법론입니다. "DevOps"는 "Development"과 "Operations"의 합성어로, 개발팀(소프트웨어 개발)과 운영팀(시스템 운영) 간의 협업, 자동화, 통합을 강조  CI/CD는 "Continuous Integration/Continuous Deployment" 또는 "Continuous Integration/Continuous Delivery"의 줄임말로,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의 자동화된 방식을 설명합니다.Continuous Integration (CI, 지속적 통합):CI는 개발자들이 코드를 공유하는 작업을 빈번하게 하여, 코드 변경 사항이 즉시 통합되고 테스트되도록 하는 개발 방법론입니다. CI는 다음과 같은..

AWS EC2 SERVER : (8) EC2 서버 PORT 지정 및 여러개 실행하기

(8) 스트림릿을 EC2 서버에서 포트 지정하여 실행시키고, 여러개 동시에 트는 방법# 프로젝트를 몇개더 지정하였다.# EC2 계정은 하나만 만들어놓아도, 한서버에서 여러개의 서버를 동시에 틀수 있다.  # 우선 새로운 앱개발을 완료하였고, 해당 앱도 이전 차량 금액 예측앱처럼 서버로 올리고 싶다.# 우선 이전과정과 동일하게 해당 앱을 개발한 Git hub 주소를 리눅스 서버에 Clone 하여야 한다.# Putty 를 이용하여 동일하게 들어간다.# IP 주소는 각자 EC2 의 퍼블릭 IP 주소로 지정하여 들어간다. (이전 게시글 참고) # 'ec2-user' ID를 입력하여 로그인하고,# 이전 앱과 같이 st_310 가상환경에서 작업을 하였기 때문에, 같은 가상환경으로 진입# conda actibate ..

AWS EC2 SERVER : (4) EC2 리눅스에 git 설치하고, github.com 의 repository 연동하기

(4) EC2 리눅스에 git 설치하고, github.com 의 repository 연동하기 # 우선 github에서 불러와 실행시킬 가상환경을 만들어 주자.# 가상화면 만들기 => conda create -n st_310 python=3.10 openssl numpy scipy matplotlib ipython scikit-learn pandas pillow jupyter seaborn # y 입력후 엔터 # 생성완료 # 생성한 가상환경으로 들어가기# 이동하기 : conda activate st_310 # 앱 작업을 위해서 streamlit 까지 설치해 주자!# pip install streamlit # 깃 프로그램 저장소인 yum에서 파일 설치위해서 관리자 권한이 필요하다.# 그때 임시로 받아오는 명..

AWS EC2 SERVER : (3) EC2 리눅스에 아나콘다 설치하는 방법

(3) EC2 리눅스에 아나콘다 설치하는 방법 # 참고 사항으로 인스턴스 삭제원할때 하는 방법! 종료를 하면됨. (실행하지는 말자)# 이전 항목 실행중 계속 실행이 되지 않거나, 뭔가 알수없는 오류가 계속된다면 해당 방법으로 처리. # 리눅스 서버에 접속함. 이제 모든 작업은 home 디렉토리에서 진행해야함 ~ 표시가 home을 뜻함 # 이제 리눅스 서버에 아나콘다를 깔아보자.# 설명서에 있는 아나콘다 다운로드 링크로 들어가서, 가입요청을 스킵하고https://www.anaconda.com/download Distribution | AnacondaAnaconda's open-source Distribution is the easiest way to perform Python/R data science a..

AWS EC2 SERVER : (2) Windows에서 EC2 Linux에 접속하기 (PuTTY 와 AWS 설정)

(2) Windows에서 EC2 Linux에 접속하기 (PuTTY 와 AWS 설정) # PuTTY를 사용하여 Windows에서 Linux 인스턴스에 연결- 순서에 따라 진행하면됨- 프라이빗 키 변환은 안해도됨!! 이미 생성할때 선택하여 생성함 다운로드 받은것!https://docs.aws.amazon.com/ko_kr/AWSEC2/latest/UserGuide/putty.html PuTTY를 사용하여 Windows에서 Linux 인스턴스에 연결 - Amazon Elastic Compute Cloud프라이빗 키의 암호는 추가 보호 계층입니다. 프라이빗 키가 노출되더라도 암호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. 암호문 사용의 단점은 인스턴스에 로그온하거나 인스턴스에 파일을 복사하기 위해 사docs.aws.amazon..

AWS EC2 SERVER : (1) EC2 인스턴스 생성하기

(1) AWS EC2 인스턴스 생성하기 # 사전준비로 AWS 가입후 메인 화면에서 region 설정!# 우측 아이디 옆에 region 무조건 서울로 설정하고 만들어야 한다!!! # EC2 서비스 검색하여 화면 진입- 인스턴스 시작! # 원하는 프로젝트명칭에 맞게 이름을 입력 # 애플리케이션 및 OS 이미지는 Amazon Linux로 설정  # 키 페어(로그인) 생성- 내가 사용하는 컴퓨터에서 AWS 서버에 접속하여야 한다.- 이 키 페어를 가지고 있어야 서버에 접속을 승인해 준다. 즉, 우리집에 들어올수 있도록 집키를 나누어 주는 것처럼.- '새 키 페어 생성' 누르기 # 키페어 유형은 RSA 선택, Window 환경이면 키 파일 형식은 .ppk를 사용! # 생성이 성공되면 자동으로 다운됨. 이 키페어가..

728x90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