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
DASHBOARD APP 개발/AWS EC2 SERVER 배포 10

EC2 자동 배포 : DevOps를 위한 CI/CD (2) Git workflow 생성 자동화

# 이제 git actions에 workflow를 생성해야 한다. # .yml 야물 이라고 칭함# Git hub에서 만들어준 메뉴얼을 그대로 복사 붙여넣기 ###name: deploy# Controls when the workflow will runon:  # Triggers the workflow on push or pull request events but only for the main branch  push:    branches:      - mainjobs:  SSH:    runs-on: ubuntu-latest    steps:      - uses: actions/checkout@v3      - name: ssh to ec2        uses: appleboy/ssh-action@m..

EC2 자동 배포 : DevOps를 위한 CI/CD (1) Git hub actions 설정

# DevOps는 소프트웨어 개발과 정보기술 운영을 결합하는 문화, 철학, 방법론입니다. "DevOps"는 "Development"과 "Operations"의 합성어로, 개발팀(소프트웨어 개발)과 운영팀(시스템 운영) 간의 협업, 자동화, 통합을 강조  CI/CD는 "Continuous Integration/Continuous Deployment" 또는 "Continuous Integration/Continuous Delivery"의 줄임말로,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의 자동화된 방식을 설명합니다.Continuous Integration (CI, 지속적 통합):CI는 개발자들이 코드를 공유하는 작업을 빈번하게 하여, 코드 변경 사항이 즉시 통합되고 테스트되도록 하는 개발 방법론입니다. CI는 다음과 같은..

AWS EC2 SERVER : (8) EC2 서버 PORT 지정 및 여러개 실행하기

(8) 스트림릿을 EC2 서버에서 포트 지정하여 실행시키고, 여러개 동시에 트는 방법# 프로젝트를 몇개더 지정하였다.# EC2 계정은 하나만 만들어놓아도, 한서버에서 여러개의 서버를 동시에 틀수 있다.  # 우선 새로운 앱개발을 완료하였고, 해당 앱도 이전 차량 금액 예측앱처럼 서버로 올리고 싶다.# 우선 이전과정과 동일하게 해당 앱을 개발한 Git hub 주소를 리눅스 서버에 Clone 하여야 한다.# Putty 를 이용하여 동일하게 들어간다.# IP 주소는 각자 EC2 의 퍼블릭 IP 주소로 지정하여 들어간다. (이전 게시글 참고) # 'ec2-user' ID를 입력하여 로그인하고,# 이전 앱과 같이 st_310 가상환경에서 작업을 하였기 때문에, 같은 가상환경으로 진입# conda actibate ..

AWS EC2 SERVER : (7) 백그라운드로 실행하고 종료하는 방법

(7) 스트림릿을 EC2 서버에서 실행시킬때, 터미널 접속을 끊어도 24시간 365일 돌아가도록 하고, 다시 종료후 재실행하는 방법 # 백그라운드에서 계속 돌아가도록 하려면?# 이전에 사용하던 streamlit run 명령어로 실행하면 putty를 종료하면 서버도 같이 다운되어 버림.# 백그라운드로 24시간 돌아가도록 실행 : nohup streamlit run app.py & # 진짜 백그라운드로 돌고있나?? 확인# 풀억세스 명령어 ps -ef# 현재 실행중인 전체 파일들을 보여준다. # 우리는 우리 서버가 돌아가는지만 보면 되므로, 지정하여 보여달라고 요청# ps -ef | grep streamlit # 이제는 putty를 종료하고 서버를 진입해 보면 이전엔 실행되지 않았는데, # 이제는 putty가..

AWS EC2 SERVER : (6) 소스코드가 수정되었을 경우, EC2에 수정사항을 반영하는 방법

(6) 소스코드가 수정되었을 경우, EC2에 수정사항을 반영하는 방법 # 가장 많이 하는 실수가 수정사항 적용할때 리눅스 서버 실행시 putty 들어가서 명령어 입력해도 실행이 안되는 경우!! - 가상환경이 알맞게 들어가서 실행요청을 한건지 확인해 봐야한다!!ex) st_310 가상환경에서 서버를 만들었는데 base에서 실행하면 실행되지 않는다. # conda activate st_310 : 내가 만든 가상환경 들어가기# conda deactivate : 가상환경 나오기 # 수정사항이 있을경우 local 에서 수정후 git에 커밋 > 푸쉬 후 서버에서 풀 동작을 해야 서버에도 수정이 적용된다.# 우선 VSC에서 수정사항을 저장하고 Git desktop에서 'ml 화면수정'이라는 내용으로 커밋, 푸쉬  하..

AWS EC2 SERVER : (5) Streamlit 실행 시 Port 처리하는 방법과 EC2 방화벽 설정

(5) Streamlit 실행 시 Port 처리하는 방법과 EC2 방화벽 설정 # 처음 생성하였던 본인의 EC2 인스턴스 화면으로 가보자# 체크 후 보안 항목을 가보면 처음에는 인바운드 규칙에 SSH 22번 port 프로토콜만 존재하는것을 확인할수 있다. # 첨부한 이미지처럼 이전 putty 가상환경에서 생성되었던 url port로 진입할수 있도록 추가해 주어야 한다. # 보안 그룹 추가 화면으로 진입  # 인바운드 규칙 편집화면으로 진입 # 유형은 사용자 지정 TCP 포트 범위는 url에 제일 끝 포트넘버 소스는 Anywhere IPv4로 설정후 규칙 저장! # 인바운드 규칙에 생성된 포트 확인# 이렇게 규칙으로 해당 포트를 허용해 주면 해당 포트넘버로 들어오는 접속은 방화벽을 해제해 주는것 # 이후 ..

AWS EC2 SERVER : (4) EC2 리눅스에 git 설치하고, github.com 의 repository 연동하기

(4) EC2 리눅스에 git 설치하고, github.com 의 repository 연동하기 # 우선 github에서 불러와 실행시킬 가상환경을 만들어 주자.# 가상화면 만들기 => conda create -n st_310 python=3.10 openssl numpy scipy matplotlib ipython scikit-learn pandas pillow jupyter seaborn # y 입력후 엔터 # 생성완료 # 생성한 가상환경으로 들어가기# 이동하기 : conda activate st_310 # 앱 작업을 위해서 streamlit 까지 설치해 주자!# pip install streamlit # 깃 프로그램 저장소인 yum에서 파일 설치위해서 관리자 권한이 필요하다.# 그때 임시로 받아오는 명..

728x90
반응형